S. Korea lagging behind Japan, China in EV battery competitiveness


SEOUL, Jan. 17 (Yonhap) -- South Korean battery makers are lagging behind their 

rivals in China and Japan in electric vehicle (EV) battery competitiveness, a local think tank said Thursday. 



Korean car battery companies, such as LG Chem Ltd. and Samsung SDI Co., have 

witnessed their combined share in the global battery market plunge to 11 percent in

 2018 from 30 percent in 2014, due mainly to a lack of captive buyers, th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KERI) said in a statement. 


"Unlike their Korean rivals, Chinese power battery manufacturer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Ltd. (CATL) and BYD Co. Ltd. are rapidly growing players in the 

car battery market helped by domestic demand. Panasonic Corp. has secured clients, such as U.S. electric car maker Tesla, Inc.," the statement said.


Currently, battery makers in the three countries meet 80 percent of the world's 

EV battery requirements. 


In Korea, there is no major manufacturer of all-electric vehicles. Hyundai Motor Group has generally been keen to develop hydrogen fuel-cell electric vehicles, 

although they make pure electric cars. 


KERI advised the government to purchase more EVs for the public sector, provide 

more subsidies to buyers of such green cars and beef up the country's charging 

infrastructure. 


The government said it is pushing to get 250,000 EVs to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by 2020, while increasing investments in charging stations in major cities.


S. EV 배터리 경쟁력에서 한국은 일본, 중국에 뒤진다.

서울, 1월 17일 (유성) - 한국의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전기 자동차(EV) 배터리 경쟁력에 있어서 중국과 일본에서 경쟁국에 뒤쳐지고 있다고 국내 한 연구소가 목요일에 말했다. 


LG화학, 삼성SDI 등 국내 자동차 배터리 업체들의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이 2014년 30%에서 2018년 11%로 추락한 것을 주로 목격했다고 한국경제연구원이 성명을 통해 발표했다. 

"한국의 경쟁사와 달리 중국 전력 배터리 제조업체인 현대 암페어렉스 테크놀로지(CATL)와 BYD는 국내 수요에 힘입어 자동차 배터리 시장에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파나소닉은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 등 고객사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현재 이 세 국가의 배터리 제조업체는 전 세계 EV 배터리 요구량의 80%를 충족시키고 있다. 

한국에는 전기자동차의 주요 제조사가 없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순수전기차를 만들지만 수소연료전지 전기차 개발에 열정적으로 임하고 있다. 

KERI는 정부가 공공부문을 위해 EV를 더 많이 구입하고, 그러한 녹색 자동차 구매자들에게 더 많은 보조금을 제공하고, 국가의 충전 인프라를 강화할 것을 권고했다. 

정부는 2020년까지 공공 및 민간 부문에 25만대의 EV를 공급하고 주요 도시의 충전소에 대한 투자를 늘리려고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